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현악 앙상블을 위한 스코어링ㅣ전경, 중경, 배경

관현악기법(ORCHESTRATION)

by 리나마니노프 2022. 3. 14. 23:33

본문

반응형

현악 앙상블을 위한 스코어링

전경-중경-배경(FOREGROUND-MIDDLEGROUND-BACKROUND)

 

대위법적이든 화성적이든 혹은 그것이 반주음악이든 거의 모든 종류의 음악이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어졌다. 다음의 세가지 개념은 앙상블에 있어서 소재의 분배를 논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전경 : 가장 중요한 성부이며 작곡자가 가장 뚜렷하게 들려지기를 원하는 성부.
2. 중경 : 대선율이나 혹은 중요한 대위법적 소재들을 포함.
3. 배경 : 화음의 형태나 다성부적, 선율적인 형태로서의 반주.

 

작곡가들의 관현악 기법은 자신의 음악에서 이러한 세가지 요소를 어떠한 방법으로 다루느냐에 의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우리가 선행된 예에서 볼 수 있었듯이 Haydn은 이 세가지 요소를 잘 운용해서 셈여림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세가지 요소간의 균현을 이루어 낼 수 있었다.

 

작곡자는 이 요소들을 작곡자 자신이 의도하는 조성 영역, 감정적 긴장도와 관계하여 각각 고려해야 하며 특히 전경에 있어서 더 그러하다. 만약 이러한 주된 소재를 현악 앙상블을 위해 악보화한다면 작곡자는 그 다섯 파트 각각의 특징적 음역에 관하여 고려해야 한다. 작곡가가 이러한 결정을 했을때, 그 결과로 생긴 주된 소재의 스코어링이 중경의 악보화와 배경의 소재에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거친 실제의 예가 그 어떤 설명보다도 더 이러한 점들을 잘 보여줄 것이다.

 

참고 작품: Brahms, Symphony No.3, third movement, mm.1-14 (String Only)

유튜브 영상 19:20~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9) Johannes Brahms - Symphony no.3, op.90 (complete) - YouTube

출처: Youtube

 

Brahms는 이 아름다운 주제를 전경으로 드러나게 하는데 첼로를 선택했고 나머지 현악기들은 배경으로 사용했다. 잠시 다양한 방법으로 이 예를 다시 편곡해봄으로써 작곡자가 어떻게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느냐를 추측해보자.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1. 제1바이올린은 이 음역에서 매우 약하고 호소력이 크지 않다. 그렇다고 만약 한 옥타브 높게 편곡된다면, 다음에 나올 주제가 강렬하지 못하고 뒤에 나올 주제의 반복이 미리 알려지게 된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2. 제2바이올린의 G현에서 주제를 연주한다면 강렬한 소리를 얻을 수 있으나 첼로의 높은 현에서 연주하는 것보다 훨씬 어두운 색채를 갖게된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3. 이 음역에서 비올라의 소리는 특징이 없고 다소 감미로우나, 강렬함이나 풍부함이 부족하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 Samuel Adler

 

4. 더블 베이스는 이 음높이에서 멜로디의 윤곽만 겨우 그릴수 있기 때문에 전혀 적절한 선택이 아니다. 낮은 음역에서 주선율을 연주할 만한 호소력을 가지지 못했다. 19세기 후반에 베이스의 독주 패시지나 베이스 그룹의 독주 부분은 애처롭거나 혹은 익살스러운 효과를 내는데 사용되었다. 

 

5. 이렇게 해서 우리는 이 선율의 연주를 위해 해당 음역에서 강렬함과 서정성을 가지는 첼로를 사용한 Brahms의 선택으로 돌아오게 된다. 독특한 첼로의 특징은 다른 현악기들에게 부드러우면서도 열정적인 반주의 역할을 하게 해주었으며 주제의 두번째 제시 부분에서 바이올린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높은 음역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었다. 이 두번째 주제 제시는 더 두텁게 편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첫번째보다 덜 긴장되게 소리난다. 분명 Brahms는 마디 12이후, 즉 첼로의 제시에 뒤이어나온 것처럼 시작 부분부터 바이올린으로 주제를 제시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첼로를 사용함으로 곡의 시작 부분에서 놀랍고 생동력 있는 효과를 감상자를 사로잡을 수 있었으며 이 부분으로 하여금 생명력과 집중력을 갖게한 것이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