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각각의 현악기, 바이올린(VIOLIN)ㅣ조율, 음역, 음색, 중음주법

관현악기법(ORCHESTRATION)

by 리나마니노프 2022. 2. 28. 23:17

본문

반응형

바이올린

이태리어: Violino

불어: Violin

독일어: Violine or Geige(가이게)

 

 

조율

바이올린을 위한 모든 음악은 높은 음자리표로 기보된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음역

바이올린은 현악기 파트에서 소프라노 악기 역할을 담당한다. 바이올린의 몸체는 왼쪽 어깨 위에 올려져서 턱에 의해 지탱되며 악기의 아래쪽에는 왼팔과 왼손이 악기의 목 부위를 받쳐준다. 현악기에 관한 장에서 논의된 모든 기법과 색채 효과들이 바이올린에서도 가능하다.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실제적인 바이올리느이 음역은 낮은 G현에서의 G음과 높은 E음(E6, 미들C=C4)까지 이다. 반면 독주곡이나 실내악에서는 그 위의 B음 혹은 그보다 높은 음도 가능하다. 현악기를 개별적으로 논의할 때, 아주 높은 음역은 연주하기가 어렵다는 것과 불과 150년 전에 이르러서야 음역이 확정되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4octav. + 3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제 운지법에 관한 문제는 연주자들에게 맡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음색을 고려할 때 생기는 문제점.-

개방현은 각기의 독특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빠른 음악에서는 별 차이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느리고 감정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부분에서는 모든 음들이 동등하고도 조절된 소리를 갖게 되기를 원하게 된다. 개방현은 훨씬 더 많이 진동하지만 이것은 현을 눌러 진동시키게 하는, 손가락의 조절에 의한 경우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모든 현악기의 개방현은 그 자제로도 이용 가능성이 풍부한 특징적인 음색을 갖지만, 다른 상황에서 어색하게 구별되기도 한다. 물론 G-개방현의 사용은 불가피하다. 왜냐하면, 다른 현에서는 연주할 수 없기 때문이다. 

 

G현

이 현은 4개의 현 중에서 가장 두껍고 음향이 풍부한 현이다.(강함) 점차 높은 음역으로 갈수록 현의 진동하는 부분이 지속적으로 짧아지므로 소리가 점점 더 격렬해지고 절박해진다. 

 

참고 곡: Tchaikovsky, Symphony No.5, second movement, mm.111-19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Mahler, 교향곡 3번 1악장 마디5-8

 

 

D현

소리의 강도에 있어 이 현은 아마도 4개의 현 중에서 가장 약한 현일것이다. 그러나 이 현은 G현과는 대조되는 온화하고 다소 가라앉은 특성을 갖는다. 이 현에서는 그 진동 길이가 짧아지는 높은 음역으로 갈수록 더 부드럽고 감미로운 소리를 낼 수 있다. 

 

참고 곡: Rinsky-Korsakov, Scheherazade, third movement, mm.1-8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A현

A현은 제1포지션에서는 상당히 강하나 그 이상의 포지션에서는 소리의 광택을 어느정도 잃게 된다. 부드럽고, 서정적이며, 감정적인 패시지에서 작곡자들은 흔히 높은 음들이 보다 밝은 음색을 갖는 E현에서 연주되기보다는 A현에서 연주되기를 바란다. (주로 많이 쓰이는 현.)

 

참고 곡: Brahms, Symphony No.3, third movement, mm.13-24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E현

이 현은 4개의 현들 중에서 가장 강하고 밝은 소리를 낸다. E현은 어마어마한 표현력을 가지며, 매우 강하고 심지어는 귀에 거슬리기까지한 소리를 낸다. 동시에 부드럽게 연주할 떄는 맑고 명료한 천상의 소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참고 곡: Strauss, Don Juan, mm9-16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Prokofiev 고전 교향곡 2악장 마디1~4

 

 

주의!!!

만약, 한 패시지가 한 현에서만 연주되기를 바란다면 그 패시지에는 sul E, sul A, sul D 혹은 sul G 라는 표기가 있어야한다. 

 

중음(Double-Stops)

모든 현악기의 중음주법은 이미 앞에서 보편적 의미로 논의했다. 특별히, 바이올린에서의 중음, 삼중음, 사중음주법에 촛점을 맞추어 볼 때, 아주 어려운 중음주법은 독주곡이나 실내악에서만 그 효용성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오케스트라 음악에서는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중음만을 사용해야 하며, 특별히 짧고 단순한 화성적 효과를 위해서라든지 풍부한 음향이 요구되는 패시지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통적인 교향악단에는 적어도 15대의 제1바이올린과 14대의 제2바이올린이 있기 떄문에, 한명의 연주자에게는 지극히 어려운 중음의 패시지가 간단하게 divisi로 연주될 수 있는 것이다. 아래는 바이올린에서 가능한 중음, 삼중음 주법의 일부 예들이다.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출처: 관현악기법연구, Samuel Adler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